다이소가 저렴한 가격의 뷰티 제품과 건강기능식품을 출시하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약국과의 논란도 불거지고 있는 상황. 다이소 뷰티 & 건기식의 인기 요인과 시장 변화 가능성을 분석한다.
1. 다이소 뷰티 & 건강기능식품, 왜 이렇게 인기일까?
1-1. 초저가 전략과 접근성
다이소는 기존의 생활용품뿐만 아니라 뷰티, 화장품,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카테고리까지 확대하며 소비자들에게 가성비 높은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1천 원~5천 원대의 저렴한 가격과 전국 어디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유통망이 소비자들에게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 건강기능식품 35종 출시: 대웅제약, 일양약품 등 제약사와 협업하여 비타민, 루테인,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제품 출시
- 화장품 & 뷰티 제품 확대: 립밤, 틴트, 쿠션팩트, 미스트 등 저렴하지만 트렌디한 제품 라인업 강화
- 전국 200개 매장에서 시범 판매 시작
1-2.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과 뷰티 제품은 SNS와 유튜브에서 화제가 되며 빠르게 입소문을 탔다. 소비자들은 “이 가격에 이런 품질이라니 믿기 어렵다”, “편의점보다 저렴해서 부담 없이 구입 가능하다”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2. 약국과의 논란: 다이소 건기식, 문제될까?
2-1. 약사들의 반발과 불매 운동
하지만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 판매에 대해 약사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대한약사회는 **“저가 건기식 판매가 약국의 역할을 위축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오해를 줄 수 있다”**며 불매 운동까지 예고했다.
- 약국에서 판매되는 프리미엄 건기식과 다이소 건기식의 성분과 함량 차이로 인한 혼란 가능성
- 제약사가 약국용 제품과 다이소 제품을 따로 출시하면서 약국의 매출 감소 우려
- 향후 다이소가 일반의약품(OTC)까지 판매 영역을 확장할 가능성
2-2. 일부 제약사의 판매 철회 결정
약사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일양약품은 판매 닷새 만에 건기식 공급 중단을 발표했다. 대웅제약과 종근당도 내부적으로 다이소 판매 지속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건강기능식품은 이미 70%가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어, 약국이 독점할 시장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며 소비자 선택권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3. 다이소 뷰티 & 건기식 추천 제품 분석
3-1. 다이소 인기 뷰티 제품
제품명가격특징
다이소 틴트 | 2,000원 | 자연스러운 색감과 가벼운 발림성 |
수분 미스트 | 3,000원 | 촉촉한 수분 공급, 간편한 휴대 가능 |
마스크팩 | 1,000원 | 저렴하지만 기본 보습 효과 탁월 |
쿠션 팩트 | 5,000원 | 가성비 높은 커버력, 데일리 사용 가능 |
3-2. 다이소 인기 건강기능식품
제품명 | 가격 | 성분 |
비타민C | 3,000원 | 항산화 효과, 면역력 강화 |
루테인 | 5,000원 | 눈 건강 개선 |
프로바이오틱스 | 5,000원 | 장 건강 도움 |
밀크씨슬 | 5,000원 | 간 건강 유지 |
이처럼 다이소 제품은 단일 성분 위주로 제조해 가격을 낮추었으며, 기본적인 영양 보충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옵션이다.
4. 다이소 건강기능식품 & 뷰티 시장의 미래는?
4-1. 소비자 선택권 확대와 시장 변화
전문가들은 다이소의 뷰티 & 건강기능식품 판매가 화장품 편집숍 ‘올리브영’이 성장한 방식과 유사하다고 분석한다.
- 초반에는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들이 올리브영 입점을 거부했지만, 중소 브랜드들이 성장하면서 K-뷰티 시장 자체가 커진 사례
- 저렴한 가격의 건강기능식품이 등장하면 소비층이 넓어질 가능성
- 소비자들은 프리미엄 제품과 가성비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됨
4-2. 기존 업계의 반발을 극복할 수 있을까?
향후 다이소가 건기식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려면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 약국과의 협력 방안 마련: 건강 상담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공간과 가성비 제품의 공존 가능성 탐색
- 차별화된 제품 구성: 프리미엄 제품과 기능성 제품을 구별하여 소비자의 혼란 방지
- 소비자 신뢰 확보: 품질 인증을 강화하고 명확한 성분 정보 제공
5. 결론: 다이소 뷰티 & 건강기능식품, 앞으로 어떻게 될까?
다이소의 뷰티 & 건강기능식품 사업은 가성비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약국 업계의 반발과 일부 제약사의 판매 철회 등 여러 논란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현재 상황을 보면 다이소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지만, 기존 업계와의 마찰을 해결하는 것이 관건이다. 앞으로 소비자들의 반응과 시장 변화에 따라 다이소의 전략이 어떻게 발전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Economy, Soc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상반기 삼성 채용, 주요 계열사 및 전형 절차, AI면접, GSAT 완벽 분석 (0) | 2025.03.10 |
---|---|
엑셀방송이 대체 뭐야? BJ, 고액 후원금으로 세금 탈루? 국세청 조사 착수! (0) | 2025.03.07 |
트럼프와 젤렌스키 대통령 정상회담 조기 종료 '파국' (0) | 2025.03.01 |
나스닥 2.8% 급락, 원인은? 트럼프 관세 위협과 엔비디아 실적 분석 (0) | 2025.02.28 |
엔비디아 주가, 지금이 매수 타이밍? 2025년 성장 가능성 분석 (2) | 2025.02.28 |